CodeStates/JavaScript

Section3 / Unit1 : 재귀

yeeendy 2023. 6. 9. 18:06

재귀 함수

자기 자신을 호출하는 함수

재귀로 문제 해결하기

1. 문제를 작게 쪼개기

- 배열의 합을 구할 때 [1, 2, 3, 4, 5]의 합을 구하는 것보다 [2, 3, 4, 5]의 합을 구하는 것이 더 작은 문제이고,
여기서 또
[2, 3, 4, 5]의 합을 구하는 것보다 [3, 4, 5]의 합을 구하는 것이 더 작은 문제일 것입니다.

//예시
arrSum([1, 2, 3, 4, 5]) === 1 + arrSum([2, 3, 4, 5])
arrSum([2, 3, 4, 5]) === 2 + arrSum([3, 4, 5])
...

2. 문제를 가장 작은 단위로 쪼개기

- 위에서 문제를 쪼갠 방식을 반복해서 문제를 계속해서 쪼개면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상태에 도달하게 됩니다.

//예시
...
arrSum([3, 4, 5]) === 3 + arrSum([4, 5])
arrSum([4, 5]) === 4 + arrSum([5])
arrSum([5]) === 5 + arrSum([])

3. 문제 해결하기

//예시
arrSum([]) === 0; // <-- 문제가 더는 작아지지 않는 순간
// 가장 작은 경우의 해결책을 적용합니다.
arrSum([5]) === 5 + arrSum([]) === 5 + 0 === 5;
arrSum([4, 5]) === 4 + arrSum([5]) === 4 + 5 === 9;
arrSum([3, 4, 5]) === 3 + arrSum([4, 5]) === 3 + 9 === 12;
arrSum([2, 3, 4, 5]) === 2 + arrSum([3, 4, 5]) === 2 + 12 === 14;
arrSum([1, 2, 3, 4, 5]) === 1 + arrSum([2, 3, 4, 5]) === 1 + 14 === 15;
function arrSum (arr) {
  // 빈 배열을 받았을 때 0을 리턴하는 조건문
  //   --> 가장 작은 문제를 해결하는 코드 & 재귀를 멈추는 코드
  if (arr.length === 0) {
    return 0
  }

  // 배열의 첫 요소 + 나머지 요소가 담긴 배열을 받는 arrSum 함수
  //   --> 재귀(자기 자신을 호출)를 통해 문제를 작게 쪼개나가는 코드
	return arr.shift() + arrSum(arr)
}

재귀를 사용하기 적합한 상황

  1.  주어진 문제를 비슷한 구조의 더 작은 문제로 나눌 수 있는 경우
  2.  중첩된 반복문이 많거나 반복문의 중첩 횟수(number of loops)를 예측하기 어려운 경우

모든 재귀 함수는 반복문(while문 또는 for문)으로 표현할 수 있다.
그러나 재귀를 적용할 수 있는 대부분의 경우에는, 재귀를 적용한 코드가 더욱 간결하고 이해하기 쉽다.

'CodeStates >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Section4 / Unit1 : Stack & Queue  (0) 2023.07.07
Section3 / Unit1 : JSON.stringify  (0) 2023.06.12
Section2 / Unit3 : fetch API, axios  (0) 2023.05.17
Section2 / Unit3 : Node.js  (0) 2023.05.16
Section2 / Unit3 : 비동기  (0) 2023.05.1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