코드스테이츠 수업 6일 차!
JavaScript 시작!
JavaScript 코드 실행하기
*HTML 파일과 JavaScript 파일을 함께 브라우저에서 실행해야 작동
*Node.js라는 JavaScript 런타임을 컴퓨터에 설치
*StackBlitz에서 JavaScript 코드를 실행
->index.js파일에 원하는 JavaScript 코드를 작성하고, Terminal에 node index.js 입력 후 엔터
->작성한 코드가 실행되고 출력 결과 확인 가능
->Terminal에 node를 입력하면 REPL 사용 가능
->REPL 종료하려면 .exit 입력
REPL(Read-Evaluate-Print loop): 읽고(read), 평가(evaluate)하고, 출력(print)을 반복(loop)하는 가장 간단한 개발 환경
내가 작성한 코드가 문법에 맞는지 틀린 지 간단하게 실행해 볼 수 있음
데이터 타입
Number 타입
*정수와 실수 표현 가능
*typeof 연산자로 해당 값이 숫자 타입인지 확인할 수 있다 (typeof 100; //'number')
*산술 연산자(arithmetic operator) -> + - * /
Math 내장 객체
- Math.floor() : 괄호 안의 숫자를 내림하여 반환
- Math.ceil() : 괄호 안의 숫자를 올림하여 반환
- Math.round() : 괄호 안의 숫자를 반올림하여 반환
- Math.abs() : 괄호 안의 숫자의 절대값을 반환
- Math.sqrt() : 괄호 안의 숫자의 루트값을 반환
- Math.pow() : 괄호 안의 첫 번째 숫자를 밑, 두 번째 숫자를 지수인 숫자를 반환
String 타입
*따옴표(’), 큰따옴표(”), 백틱(`)으로 감싸면 표현 가능
*백틱(`)은 줄 바꿈도 가능
*한자, 이모지 같은 특수문자도 가능
*+로 문자열 이어 붙이기 가능
*.length 속성 -> 문자열의 길이 확인 (console.log('블로그'.length); //3)
*index -> 각 문자가 몇 번쨰에 위치하는지 확인 (0부터 센다)
(let str = 'vlog';
console.log(str[0]); // 'v'
console.log(str[2]); // 'o')
문자열 주요 메서드
- toLowerCase() : 문자열을 소문자로 변경
- toUpperCase() : 문자열을 대문자로 변경
- concat() : 문자열 연결 연산자 +처럼 문자열을 이어 붙일 수 있다 ('hello '.concat('world'); //'hello world')
- slice() : 문자열의 일부를 자를 수 있다 ('hello world'.slice(0,4); //'hell' //0부터 4자리)
- indexOf() : 문자열 내에 특정 문자나 문자가 몇 번째 위치하는지 확인
->만약 찾는 문자가 2개 이상일 경우, 가장 앞에 있는 문자의 인덱스를 조회
->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-1을 반환 - includes() : 문자열 내에 특정 문자나 문자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 (값은 true, false로 나타남)
Boolean 타입
*사실 관계를 구분하기 위한 타입
*값은 true 혹은 false 둘 중 하나
falsy, truthy
*boolean 타입 X
* false로 “여겨지는”, true로 “여겨지는” 값
*대표적인 falsy 값 ( false, 0, -0, 0n, "", '', ``, null, undefined, NaN)
비교연산자(comparison operator)
- ===, !== : 엄격한 동치 연산자
- ==, != : 느슨한 동치 연산자
- > , < , >= , <= : 대소 관계 비교 연산자
논리연산자(logical operator)
* || : 논리합(OR)
- 두 값 중 하나만 true여도 true로 판단
- 두 값이 모두 false면 false로 판단
* && : 논리곱(AND)
- 두 값이 모두 true면 true로 판단
- 두 값 중 하나만 false여도 false로 판단
논리 부정 연산자(!)
- 오른쪽 피연산자와 반대의 사실을 반환 (!true //false)
- falsy, truthy의 반대 값을 반환
코플릿 7번 문제(isPythagorean)
->나는 if문 안에 if문을 사용해서 만들었는데
->참조를 보니 if문 없이 간단하게 논리연산자만 사용해서 만들 수 있었다.
'CodeStates >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ection1 / Unit5 : JS 반복문 & 함수 (0) | 2023.04.20 |
---|---|
Section1 / Unit5 : JS 조건문 (0) | 2023.04.19 |
Section1 / Unit4 : 복습&계산기 목업 만들기 (0) | 2023.04.17 |
Section1 / Unit4 : HTML/CSS활용 (0) | 2023.04.14 |
Section1 / Unit3 : CSS (0) | 2023.04.13 |